메뉴 건너뛰기

쿠플존 KUPLEZONE

조회 수 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1933_15938_2228.jpg
▲ 사진∣ 서동재 기자 awe@

12일 광주지방법원은 양심에 따라 병역을 거부한 2명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다음날 수원지방법원 역시 같은 판결을 내렸다. DMZ에서 폭발한 지뢰가 북한군의 목함지뢰와 일치한다는 국방부의 발표 직후였던 탓인지 여론은 병역거부자에 대한 비난으로 들끓었다. 무죄판결을 다룬 한 포털의 뉴스에서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지뢰제거반으로 활용하자”는 댓글이 가장 많은 공감을 얻기도 했다.

병무청의 통계에 따르면 신념이나 종교 등 개인의 양심적 판단에 근거해 병역을 거부하는 인원은 매년 약 600명에 달한다. ‘양심적’ 병역거부자라고 불리는 이들은 ‘정당한 사유 없이 입영을 거부하면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병역법 제88조 1항에 따라 검찰에 기소돼 실형을 선고받고 있다. 하급심에서 종종 무죄 판결이 나오곤 있지만, 지금껏 고등법원과 대법원에서 이들에게 무죄를 선고한 적은 없다.

해당 조항은 현재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여부를 심사 중에 있다. 7월 9일, 헌법재판소는 공개변론을 열고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를 처벌하는 것이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결정하기에 앞서 관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듣기도 했다.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해당 조항을 합헌이라고 판결했던 헌법재판소는, 4년 만에 다시 판단의 기로에 섰다.

여론과는 달리 군 당국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에게 대체복무를 허용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다만 병역거부자 처벌 자체를 위법이라고 판단하기보다 국회에서 도입 방법과 시기를 신중하게 저울질하며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방부 측 서규영 변호사는 공개변론에서 “아직 국민이 대체복무제의 도입을 양해한다는 믿을만한 자료가 없다”며 “현재 상황에서는 국민의 관용도를 고려할 수 있는 국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휴전 상황이라는 한국의 특수성 때문에 개인의 양심 보다는 안보가 우선이라는 논리는 과연 타당할까. 분명한 것은 수천만 명이 사망했던 세계대전 시기는 물론 난전이 일상으로 자리하고 있는 국가에서도 병역거부권은 인정되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5500만 명에 달하는 희생자가 나왔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징병제를 관리하던 허시(Lewis Blaine Hershey) 장군은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해 “민주주의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소수자의 권리를 보존하기에 충분한지 알아내기 위한 척도”라고 표현했다.

한국의 상황에 대해 국제사회는 다양한 방법으로 우려를 표명해오고 있다. UN인권이사회 산하 자유권규약위원회는 한국에게 대안을 마련하라는 권고를 지금껏 총 5번에 걸쳐 내놓았다. 프랑스와 호주 등 일부 국가는 병역거부를 이유로 난민을 신청하는 사람들을 받아들이고 있 으며 미국 역시 2012년 UN인권이사회 국가별 정례 검토에서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에 즉시 민간 대체복무를 도입하라고 권고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회는 이들에게 대체복무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하고 있지만 근 10년간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고 있다. 누구도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하루에 두 명 꼴의 청년은 양심에 따라 감옥으로 향하고 있다. 사회생활 초년기인 20대 시절부터 여타 범법자와 동일한 ‘꼬리표’를 달아야 하는 그들은 출소 이후에도 정상적인 생활을 기대하기 힘들다.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를 병역기피자와 구분해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대체복무 논의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이뤄져야 할까. 그 해답을 찾기 위해 관계자와 전문가, 그리고 병역거부자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다.

김범석 기자  conan@kukey.com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립치과 [치과제휴혜택]필립치과 충치치료부터 치아미백까지 한 곳에서! >>> 레진치료5/치아미백17.9 - 비급여진료 최대 50%(치아미백,치아성형,충치치료,스켈링,임플란트 등) 댓글 4 file 04-13 2866
68 고대신문 [1666호-보도]세종총학 "다채로운 학생총회로 만들 것" 03-31 1458
67 고대신문 축구부, 2대0으로 경희대 꺾고 올해 첫 우승 03-31 1923
66 고대신문 [1665호-학술] 통일 후 한반도의 변화 03-23 1975
65 고대신문 [1665호-문화] "고민하지 않은 글은 죽은 글이나 마찬가지" 03-23 1633
64 고대신문 [1665호-보도] 아이스하키부도 그때 '거기' 있었다 03-23 1776
63 고대신문 [1665호-스포츠] 축구부, 2승 1무로 순조로운 출발 03-23 1877
62 고대신문 [1664호-보도] 세종캠 여학생에게도 학군단 문 열렸다 03-23 2728
61 고대신문 [1664호-보도]조치원 영화관 개관 “청주까지 안 가도 돼” 03-23 3534
60 ndragon [속보] 24대 총학생회에 청춘고함 선본 당선 12-02 2437
59 고대신문 [고연전 특집-럭비 전력분석] 부딪쳐라, 돌파하라, 저지하라 09-08 4032
58 고대신문 [고연전특집-아이스하키 전력분석]광속의 질주로 빙판을 녹인다 09-08 5649
57 고대신문 [고연전 특집-농구 전력분석] 강렬한 투지로 연세의 높이를 넘어선다 09-08 4451
56 고대신문 [1648호-보도] 사체과, 독립학부되다 댓글 2 09-08 3004
55 돗대 [1648호-보도] '기숙형 몰입교육' 시행 댓글 1 09-08 2777
54 고대신문 [1646-보도] 세종 3차 확운위 열려, 총학사업 평가 오고가 댓글 2 06-09 2598
53 고대신문 [1646-보도] 세종총학 상반기 평가 댓글 3 06-09 2716
52 고대신문 [1646-보도] 30년 담기 부족한 기록자료실 06-09 1768
51 고대신문 [1645호] "안암 학생의 편견이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댓글 1 06-09 3041
50 고대신문 [1645-보도] 캠퍼스간 마음의 벽이 있다 댓글 2 05-31 3732
49 고대신문 [1645-보도] 세종 30주년 새 비전 선포 05-31 2805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글 작성
10
댓글 작성
2
파일 업로드
0
파일 다운로드
0
게시글 조회
0
추천 받음
2
비추천 받음
-1
위로 가기
고려대 포털 블랙보드 도서관 버스정보 오늘의 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