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쿠플존 KUPLEZONE

조회 수 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1933_15938_2228.jpg
▲ 사진∣ 서동재 기자 awe@

12일 광주지방법원은 양심에 따라 병역을 거부한 2명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다음날 수원지방법원 역시 같은 판결을 내렸다. DMZ에서 폭발한 지뢰가 북한군의 목함지뢰와 일치한다는 국방부의 발표 직후였던 탓인지 여론은 병역거부자에 대한 비난으로 들끓었다. 무죄판결을 다룬 한 포털의 뉴스에서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지뢰제거반으로 활용하자”는 댓글이 가장 많은 공감을 얻기도 했다.

병무청의 통계에 따르면 신념이나 종교 등 개인의 양심적 판단에 근거해 병역을 거부하는 인원은 매년 약 600명에 달한다. ‘양심적’ 병역거부자라고 불리는 이들은 ‘정당한 사유 없이 입영을 거부하면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병역법 제88조 1항에 따라 검찰에 기소돼 실형을 선고받고 있다. 하급심에서 종종 무죄 판결이 나오곤 있지만, 지금껏 고등법원과 대법원에서 이들에게 무죄를 선고한 적은 없다.

해당 조항은 현재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여부를 심사 중에 있다. 7월 9일, 헌법재판소는 공개변론을 열고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를 처벌하는 것이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결정하기에 앞서 관계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듣기도 했다.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해당 조항을 합헌이라고 판결했던 헌법재판소는, 4년 만에 다시 판단의 기로에 섰다.

여론과는 달리 군 당국은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에게 대체복무를 허용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다만 병역거부자 처벌 자체를 위법이라고 판단하기보다 국회에서 도입 방법과 시기를 신중하게 저울질하며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방부 측 서규영 변호사는 공개변론에서 “아직 국민이 대체복무제의 도입을 양해한다는 믿을만한 자료가 없다”며 “현재 상황에서는 국민의 관용도를 고려할 수 있는 국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올바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휴전 상황이라는 한국의 특수성 때문에 개인의 양심 보다는 안보가 우선이라는 논리는 과연 타당할까. 분명한 것은 수천만 명이 사망했던 세계대전 시기는 물론 난전이 일상으로 자리하고 있는 국가에서도 병역거부권은 인정되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5500만 명에 달하는 희생자가 나왔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징병제를 관리하던 허시(Lewis Blaine Hershey) 장군은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해 “민주주의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소수자의 권리를 보존하기에 충분한지 알아내기 위한 척도”라고 표현했다.

한국의 상황에 대해 국제사회는 다양한 방법으로 우려를 표명해오고 있다. UN인권이사회 산하 자유권규약위원회는 한국에게 대안을 마련하라는 권고를 지금껏 총 5번에 걸쳐 내놓았다. 프랑스와 호주 등 일부 국가는 병역거부를 이유로 난민을 신청하는 사람들을 받아들이고 있 으며 미국 역시 2012년 UN인권이사회 국가별 정례 검토에서 “미국 정부는 대한민국 정부에 즉시 민간 대체복무를 도입하라고 권고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회는 이들에게 대체복무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하고 있지만 근 10년간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고 있다. 누구도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하루에 두 명 꼴의 청년은 양심에 따라 감옥으로 향하고 있다. 사회생활 초년기인 20대 시절부터 여타 범법자와 동일한 ‘꼬리표’를 달아야 하는 그들은 출소 이후에도 정상적인 생활을 기대하기 힘들다.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를 병역기피자와 구분해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대체복무 논의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이뤄져야 할까. 그 해답을 찾기 위해 관계자와 전문가, 그리고 병역거부자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봤다.

김범석 기자  conan@kukey.com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립치과 [치과제휴혜택]필립치과 충치치료부터 치아미백까지 한 곳에서! >>> 레진치료5/치아미백17.9 - 비급여진료 최대 50%(치아미백,치아성형,충치치료,스켈링,임플란트 등) 댓글 4 file 04-13 2866
328 고대신문 [창업] 획기적인 아이템은 기본, 철저한 준비성까지 갖춰야 11-28 2637
327 고대신문 [1646-보도] 세종 3차 확운위 열려, 총학사업 평가 오고가 댓글 2 06-09 2598
326 고대신문 정보 [1635호-보도]의료공제비 24년만에 인상 03-13 2578
325 고대신문 [창간기념호 특집 고대신문 편집국장 좌담] "밖에 나가서 보니 고대신문은 정말 재미없었다" 10-31 2565
324 고대신문 [1640-세종] 세종 버스기사 쉴 곳이 없다 댓글 3 04-14 2561
323 고대신문 사라지는 북한학과 본교는 "괜찮다" 11-28 2515
322 고대신문 정보 불편한 블랙보드, 10월엔 나아질까 10-08 2509
321 고대신문 [아이스하키 전력분석] 막판 뒷심을 키워 연패 끊는다 file 09-26 2499
320 고대신문 [1637-보도]축구부 전 감독 심판매수 혐의받아 03-22 2452
319 고대신문 [제25대 세종총학생회장 후보 공약분석] 청춘고함보다 다양성 보강 11-28 2446
318 ndragon [속보] 24대 총학생회에 청춘고함 선본 당선 12-02 2437
317 고대신문 [고대신문 도쿄취재] 자유로운만큼 결과에 책임을 지는 학풍 03-07 2411
316 고대신문 [1641-인터뷰] 김정배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05-04 2396
315 고대신문 [1641-보도] 김명인 교수 <꽃차례>로 편운문학상 수상 05-04 2353
314 고대신문 2013년 정기 고연전 야구 주목할 선수 file 09-26 2339
313 고대신문 [축구 전력분석] 5연승을 하려면 더욱 견고해져야 file 09-26 2332
312 고대신문 [1641-보도] 호연학사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 댓글 1 05-04 2326
311 고대신문 [피키캐스트 박성민 콘텐츠 팀장 인터뷰 ] "자유로운 분위기가 경쟁력의 비결이죠" file 09-11 2300
310 고대신문 [1641-기획] 교수가 뽑은 최고의 밉상 고대생은? 댓글 2 05-04 2296
309 고대신문 2013년 정기 고연전 럭비 주목할 선수 file 09-26 229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글 작성
10
댓글 작성
2
파일 업로드
0
파일 다운로드
0
게시글 조회
0
추천 받음
2
비추천 받음
-1
위로 가기
고려대 포털 블랙보드 도서관 버스정보 오늘의 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