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쿠플존 KUPLEZONE

조회 수 3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971년 개관 후 45년 만에 처음 시도되는 학생회관 리모델링이 협의 내용의 명문화 문제로 지체되고 있다. 8월 19일 열린 학생회관새단장추진위원회(위원장=신지영 학생처장, 추진위) 회의에서 동아리연합회(회장=김근우, 동연)는 ‘추진위 의결의 기본원칙이 명문화돼야 리모델링에 찬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신지영 학생처장은 명문화는 학생이 요구할만한 사안이 아니라며 수용하지 않았다.

21932_15937_2010.jpg

▲ 사진∣서동재 기자 awe@

일러스트∣김예진 전문기자

동연은 학교가 구두로 합의한 바 있는 기본원칙을 무시할 경우를 대비해 문서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본 원칙은 ‘자치공간 축소 금지’와 ‘학생자치단체 외 단체에 추가 공간 배치를 금지하는 것’ 등을 담고 있다. 8월 7일 열린 임시 동연대표자회의에서 대표자 75명 중 45명이 ‘기본원칙이 명문화돼야 리모델링에 찬성한다’는 안건에 찬성했다. 김현재 철학마을 회장은 “원칙의 명문화 없이 진행되면 공사 후 동아리방 수가 줄어들거나 외부 기업이 입점하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그동안 자치공간이 사라진 사례가 많아 학교를 믿기 힘들다”고 말했다. 신지영 학생처장은 “학생들과의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는데도 나를 믿지 못해 각서를 요구한다면 리모델링은 진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신 처장은 “학생회관 구성원인 동아리들의 의견을 예산 내에서 최대한 반영하려면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8월 27일 ‘학생처장과 함께’ 자리에서 신지영 학생처장은 “학생회관은 이름대로 학생을 위한 건물”이라며 “만약 누군가 임대시설을 늘리기 위해 공사하고자 한다면 학생처장인 내가 막겠다”고 말했다. 관리 및 출입 방식과 관련해 신 처장은 “안전 수칙 등을 만들어 학생이 자율적으로 지키게 할 것”이라며 “학생회관에서 밤을 새는 학생을 통제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학생처장과의 대화’ 이후 동연은 논의됐던 내용을 동아리 대표자들에게 알리고, 9월 중 투표로 리모델링 여부에 대한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학생 측이 리모델링하기로 결정하면 이후 논의해야 할 사안은 공사 방식이다. 현재 가능한 방식으로는 전면 리모델링과 부분 리모델링이 있다. 전면 리모델링은 건물 출입을 통제하고 모든 층을 한 번에 공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학관 내 모든 짐을 빼서 외부 공간에 보관해야 한다. 시설부 관계자는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면 2개월 정도 소요된다”며 “다만 관공서 건축물 인허가 지연 같은 돌발변수가 생기면 기간이 늘어날 수 있어 확답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분 리모델링은 한 층씩 공사하는 방식으로,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면 약 6개월이 걸린다. 그동안 학생들은 공사하지 않는 층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아리방 재배치 같은 큰 규모의 변화가 어렵다. 또한 기간이 긴 만큼 공사비가 늘어나 예산 사용에 한계가 있다.

 

전면 리모델링에 찬성하는 동아리들이 많은 가운데, 공연 활동을 하는 기악예술분과와 연행예술분과 소속 동아리 중 상당수가 부분 리모델링에 지지하고 있다. 공사기간 동안 쓸 연습 공간과 동아리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장소가 확보되지 않으면 전면 리모델링에 찬성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진솔 중앙동아리 국악연구회 회장은 특히 물품 보관과 관련해 “가야금, 거문고가 습기에 취약해 외부 공간에 보관하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동연은 공사기간 동안 사용 가능한 공간을 마련하려 노력 중이다. 이를 위해 △4.18 기념관, 대강당, 소극장 공간 대관 △방학 중 인근 초, 중학교 대관 △교양관이나 단과대 소속의 각 건물 공간 대관 △오전에 영업하지 않는 가게 대여 등을 논의하고 있다.

 

이지영 기자  easy@kukey.com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립치과 [치과제휴혜택]필립치과 충치치료부터 치아미백까지 한 곳에서! >>> 레진치료5/치아미백17.9 - 비급여진료 최대 50%(치아미백,치아성형,충치치료,스켈링,임플란트 등) 댓글 4 file 04-13 2866
228 고대신문 [늘어나는 청년 사회적 기업 ] 품질로 승부하는 착한 시장 경쟁 file 09-11 1072
227 고대신문 [중국의 소수민족 통합정책 ] "'중화민족'은 그래서 하나다" file 09-11 2061
226 고대신문 [중국 내 소수민족 저항운동 ] 그들은 그래도 싸우고 있다 file 09-11 1526
225 고대신문 페이지, 네 속살을 보여줘 file 09-11 1108
224 고대신문 [피키캐스트 박성민 콘텐츠 팀장 인터뷰 ] "자유로운 분위기가 경쟁력의 비결이죠" file 09-11 2300
223 고대신문 [남성운동 조명 ] 가부장제 극복 위해 '젠더학'에 주목해야 file 09-11 1261
222 고대신문 [안암총학과 학생처 ] 불가분의 관계, 양방향의 원활한 소통 필요 09-11 1173
221 고대신문 의도적 편집에 세종총학회장 곤혹 치러 09-11 870
220 고대신문 [1학년 세미나 점검 ] ‘합동’이라 문제 발생, ‘과별’에서 특성 생성 file 09-11 1298
219 고대신문 기숙사 통금 전면 완화 09-11 1601
218 고대신문 국정원 사태에 정치적 중립 원하는 학교 09-11 1082
217 고대신문 [2013 중앙일보 대학평가] 7개 학과 최상위권 평가 09-11 1025
216 고대신문 교비대납에 BK21+ 반토막 위기 댓글 1 09-11 1158
215 고대신문 [세종캠퍼스 통합영어 문제 ] 학생 눈높이 못 따라가는 10년 전 방식 댓글 3 file 09-11 1738
214 고대신문 [국내 수산물 안전성 심포지엄] 국내 해양 환경 아직은 안전지대 file 09-26 1048
213 고대신문 [표창원 전 교수 강연] 자유의 방법으로 자유를 수호해야 file 09-26 1322
212 고대신문 [KU대학펀드 투자 1년] 스타트업 기업과 녹색 기업에 하는 착한 투자 file 09-26 1038
211 고대신문 [교내 CCTV 문제] 학생이 지켜봐줘야 하는 교내 CCTV file 09-26 1441
210 고대신문 [사학연금 교비대납 해법 갈등] 제출시한은 다가오고 합의점은 멀어지고 09-26 679
209 고대신문 [전승(全勝)학번 부천 FC 곽경근 감독 인터뷰] "악과 깡이면 거뜬히 이길 거야" file 09-26 166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0 Next
/ 20
글 작성
10
댓글 작성
2
파일 업로드
0
파일 다운로드
0
게시글 조회
0
추천 받음
2
비추천 받음
-1
위로 가기
고려대 포털 블랙보드 도서관 버스정보 오늘의 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