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쿠플존 KUPLEZONE

조회 수 115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육부가 8월 31일 본교를 포함한 사학연금 교비 대납 대학에게 BK21플러스 2013년도 사업비 50%를 지급 유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본교 BK21플러스사업 진행에 차질이 우려된다. 안암캠퍼스와 세종캠퍼스가 올해 BK21플러스사업 지원 금액은 230억 원 가량이지만 본교가 사학연금 환수 방안을 교육부에 9월 30일까지 제시하지 못하면 100억 원 정도의 예산만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약 115억 원에 가까운 예산이 유보되면 BK21플러스사업에 참여한 대학원생과 교수에게 가장 큰 타격이 생긴다. 장학 혜택을 받는 학생 수도 반으로 줄어드는 상황이다. 안암캠퍼스와 세종캠퍼스가 2013 BK21플러스사업 미래기반창의인재양성형으로 본래 매년 각각 223억과 7억으로 총 230억 원을 지원받을 예정이었다. 김상식 산학협력단장은 “예산이 유보 되면, 직접적인 수혜자였던 대학원생들의 반발이 가장 클 것”이라고 말했다. BK21예산이 줄면 교수 역시 연구비 유치를 위해 따로 나서야할 판이다. 기존 연구 사업과 달리 BK21플러스사업은 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연구비 유치 등 연구 외 업무는 덜 수 있었다. 김상식 산학협력단장은 “BK21사업으로 논문 게재비와 학회 참가비도 지원되는 부분이 있었으나 예산이 감액되면 전반적인 학술 활동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교육부의 이번 조치가 엄포로 그치는 것으로 볼 순 없다. 국민대와 세종대는 2013 BK21플러스사업에서 각각 5개, 8개 사업팀이 선정됐지만 2012년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돼 올해는 정부로부터 어떠한 연구 지원도 받지 못한다. 본교 한 관계자는 “교육부의 대응이 단순히 말하는 것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며 “9월 말까지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 예산 유보는 국민대·세종대 사례를 봐도 확실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 단장은 “서울대와 같은 국립대나 성균관대와 같이 사학연금 대납과 무관한 대학이 많아 모든 대학이 교육부에 한 목소리를 내 항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교육부의 방침에 대응방안을 내놓아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교육부의 조치에 대한 교내 여론은 비판적이다. 건설 인재양성사업단의 단장인 이우진(공과대 건축환경공학부) 교수는 “BK21사업 예산은 대학원생 연구 인건비이지 교직원 사학연금과 관련이 없는 사항”이라며 “교육부의 횡포나 다름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명주 산학협력 부장은 “환수 결정은 각 학교가 결정할 일”이라며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이같이 개입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익명을 요구한 한 직원은 “교육부가 포퓰리즘적인 정치권의 생색내기용 정책에 휘둘리고 있다”며 “대학 행정 및 운영에 지원을 책임지는 교육부가 오히려 대학에 지나친 간섭과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에 문의했으나 대학재정지원과와 감사실에서는 서로 답변을 미뤘다.

 

본교 사학연금 환수는 직원들의 급여에서 공제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직원 노조와 학교 관계 부서는 사학연금 환수에 관해 논의해왔으나 그동안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직원노조는 사학연금 환수건과 함께 직원 권익 향상을 요구했으나 학교 측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사학연금에 대해 본교 직원노조는 세금을 부과한 부분도 있고 노사가 합의해 복리 후생비 명목으로 수당을 보전 받았던 근거를 들어 사학연금의 불법성은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재년 직원노조 지부장은 “100억 원이 넘는 이번 사안이 긴박한 만큼 협조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학교 당국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았지만 학교는 직원의 일방적인 희생만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원 노조는 10일 학교본부와 임금 관련 협상을 진행해 사학연금 환수 이후 직원 손실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인력개발팀 안광헌 부장은 “곧 명절이 있어 9월 말까지 시간이 별로 없어 서둘러 해결해야한다”며 “상식선에서 잘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 이영현 기자 imstn@kukey.com
기사원문 고대신문 1730호(9월 9일자) 1면
http://www.kukey.com/news/articleView.html?idxno=19619



  • profile
    똥강아지 2013.09.11 22:06
    교과부에서 사학연금을 교비에서 지출한 것을 문제삼는 것은 그 것이 충분히 문제의 소지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것은 다시 말해 학교에서 교비를 잘 못된 방법으로 사용했다는 것이 될테구요....

    심하게 말하면 '교비유용', '업무상 배임', '공금유용' 등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데 이런 부분에 대한 문제제기는 하지 않은 것 같네요.

    매년 문제가 되고 있는 엄청난 액수의 적립금과, 고액 등록금, 고액 입학금 등등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고대에서 연구비 못 받으면 학생들이 피해를 많이 본다는 것은 말도안되고....

    고대신문이 학보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신문'으로서의 역할을 해 주었으면 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립치과 [치과제휴혜택]필립치과 충치치료부터 치아미백까지 한 곳에서! >>> 레진치료5/치아미백17.9 - 비급여진료 최대 50%(치아미백,치아성형,충치치료,스켈링,임플란트 등) 댓글 4 file 04-13 2866
248 고대신문 재수강 제도 바뀐다 10-03 1719
247 고대신문 오송 의생명공학연구원 기공식 열려 10-31 1717
246 고대신문 이 뽑기보다 쉬운 산부인과 가기 09-05 1714
245 고대신문 대학감사 중간발표... 대학들 반응은? 11-28 1713
244 고대신문 [1638-보도] 아이스하키부 와세다대에 역전패 댓글 1 03-30 1701
243 고대신문 정보 버려진 것에 새 가치를 입히는 업사이클링 05-06 1698
242 고대신문 김병철 총장과 안암총학 면담 성사, 부서별 대책안 강구 중 05-08 1689
241 고대신문 [1640-세종] 4월혁명 중심에 가난한 자들이 있다 04-14 1685
240 고대신문 [1640-보도] 파죽지세 축구부 U리그 5연승 돌풍 04-14 1662
239 고대신문 [전승(全勝)학번 부천 FC 곽경근 감독 인터뷰] "악과 깡이면 거뜬히 이길 거야" file 09-26 1661
238 고대신문 2013년 정기 고연전 축구 주목할 선수 file 09-26 1658
237 고대신문 종로에서 명동까지, '알바'의 소리를 들어라 05-13 1655
236 고대신문 창조주가 말하는 쿠플존만의 '무언가' 댓글 1 11-21 1638
235 고대신문 3회 째인 CCP, 부분적 개선 필요 10-09 1633
234 고대신문 [1665호-문화] "고민하지 않은 글은 죽은 글이나 마찬가지" 03-23 1633
233 고대신문 학교 측과 세종총학생회 면담무산 10-09 1632
232 고대신문 "책을 향해 고개를 돌리시게나" 03-26 1630
231 고대신문 2% 인하와 40억원 장학금 확충으로 마무리 03-07 1606
230 고대신문 기숙사 통금 전면 완화 09-11 1601
229 고대신문 정보 안암을 지킨 15년의 기억 '개다방' 이 사라진다 09-22 1593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0 Next
/ 20
글 작성
10
댓글 작성
2
파일 업로드
0
파일 다운로드
0
게시글 조회
0
추천 받음
2
비추천 받음
-1
위로 가기
고려대 포털 블랙보드 도서관 버스정보 오늘의 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