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쿠플존 KUPLEZONE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소요사태는 1949년 중화인민 공화국 창건 이래 계속된 소수민족과 한족 사이의 갈등이 재차 드러난 것이다. 갈등의 뿌리에는 민족통합에 대한 중국인들의 강렬한 염원과 염원에서 비롯된 ‘단 하나의 중국(只有一個中國)’이라는 소수민족 통합기조가 있다. 

 

‘하나의 중국’
 
‘하나의 중국’이란, ‘중화인민공화국과 홍콩, 마카오, 타이완은 모두 하나의 국가이며 분리될 수 없다’는 중국의 정치·외교 모토이다. 대체로 타이완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논리로 이용되지만,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을 허용하지 않는 중국의 영토관을 뜻하기도 한다. 신장 등 소수민족은 18세기 청나라 건륭제에게 복속되기 이전까지 수 천 년간 인종·언어·문화·역사 등에서 한족(漢族,현재 중국 전체 인구의 약 91% 차지)과 다른 길을 걸었다. 하지만 마지막 전근대 국가인 청조의 강역에 포함됐었다는 이유만으로 ‘하나의 중국’ 또는 ‘중화민족 대가정’의 범주에 편입됐다. ‘하나의 중국’은 이들을 놓지 않으려는 현대 중국의 몸부림이면서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뿌리 깊은 정치 모토이기도 하다.

 

전근대 통일의식
 
고대부터 중국인들은 통일국가에 대한 염원을 가졌지만 한족의 거주영역에 한정된 개념이었다. 왕조시대 중국인들은 중국 대륙을 하나의 천하(天下)로 인식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인물은 오로지 하나의 군주, 즉 황제(皇帝)로 여기는 ‘대통일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전통 중국의 ‘대통일 관념’과 ‘하나의 중국’은 통일의 범주가 다르기에 곧바로 연결시키기 어렵다. 전근대적 ‘대통일 관념’의 통일은 천자의 통치범위 안에 있는 한족의 통일만을 지칭한다. 한족들은 천자 범위 밖의 이민족을 북적(北狄), 서융(西戎), 남만(南蠻), 동이(東夷) 라 부르며 오랑캐로 간주했고 이들에게 천자 숭상의 예우만 요구했을 뿐 통일을 원하진 않았다.
 
소수민족을 포함하는 통일 관념은 근대로의 세기전환이 이뤄진 19세기 말~20세기 초 경 등장했다. 신해혁명 당시, ‘만주족을 멸하고 한족을 흥하게 하자’는 멸만흥한(滅滿興漢)의 기치를 내건 혁명파는 청조 타도를 성공하자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 이전, 민족에 대한 재(再)정의 논쟁을 벌였다. 논쟁 끝에 ‘민족’의 정의가 ‘한족’에서 ‘청조 지배하에 있던 모든 민족’으로 새롭게 바뀌었다. 쑨원(孫文) 역시 한족의 민족국가 대신 만주족·장족(티베트)·몽골족·회족·한족 등 5개 민족이 화합해 새로운 공화국을 만들어 나가자는 오족공화(五族共和)를 새롭게 주창했다. 이는 한족제국이었던 명나라의 2배, 오늘날 중국 영토의 약 63%를 차지하는 소수민족의 영토를 잃고 싶지 않았던 혁명파의 의지로 해석된다. 박상수(문과대 사학과) 교수는 “혁명파는 청조의 영토와 지배력 그리고 휘하의 묶여진 소수민족들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며 “한족의 민족국가대신 ‘중화민족’의 국가로 새롭게 정의한 건 이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소수민족은 이 같은 혁명파의 주장에 반발했다. 한족 집단으로서 한족만의 민족주의를 추구하던 혁명파가 만주족에 대한 반감으로 일으킨 민족혁명(신해혁명) 이후 말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해혁명 이후 몽골족·회족·장족 등이 앞 다퉈 독립을 선포했지만 러시아의 도움을 받은 외몽골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수민족들은 역량이 부족해 독립에 실패했다.

 

민족자결에서 민족자치로
 
소수민족을 자신들의 강역에 끌어들이려는 한족의 노력은 국공 분열기에도 계속됐다. 1925년 혁명파의 영웅 쑨원이 사망하자 장제스의 국민당과 마오쩌둥의 공산당 대립이 격화됐다. 중국 내정의 주도권을 장악한 국민당은 오족공화 대신 전통적 대한족주의(大漢族主義)로 회귀했다. 국족동원론(國族同源論)이라고도 불린 국민당의 소수민족 통합책은 ‘소수민족은 ‘국족(國族)’ 한족의 여러 갈래이며 한족의 문화와 지위에 복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후 국민당은 소수민족에 대한 무자비한 동화정책을 펼쳤고 이는 소수민족의 많은 불만을 낳았다.
 
국민당의 억압정책에서 교훈을 얻은 공산당은 민족자결(民族自結)의 기치를 내걸고 소수민족의 협력을 요청했지만 이 역시 국민당과의 세력다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였다. 1920년대 초반만 해도 공산당은 소수민족 문제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1차 국공합작 실패 이후 국민당에게 주도권을 뺏긴 공산당은 당시 지방에서 나름의 세력을 형성하던 소수민족들의 도움이 필요해 1931년 민족자결을 주장하며 소수민족을 포섭에 나선 것이다. 박 교수는 “자결이라는 것은 자기가 스스로 결정하는 것. 즉, 분리·독립까지도 포함하는 단어다”라며 “국민당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공산당이 파격적 제안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공산당이 현재와 같은 ‘소수민족 독립 비(非)용인 노선’을 추구하게 된 시기는 1936년 항일전쟁 이후다. 중일전쟁이 터지자 중국 내부에서 민족단결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1937년 공산당 주도의 2차 국공합작이 이뤄진다. 단결의 필요성을 느낀 공산당은 기존의 ‘민족자결론’ 때문에 자신들의 힘이 약화될까 두려웠고 이에 ‘민족자결’ 대신 ‘민족자치’로 정책을 전환한다. 박 교수는 자결과 자치의 차이를 지도자의 존재유무로 해석한다. 그는 “자결이라는 것은 앞에 지도자가 없는 완벽한 자기결정권이지만, 자치는 윗선 지도자의 영도를 받는 것”이라며 “소수민족이 많은 자유를 누리는 것처럼 약속받았지만, 자치라는 단어 때문에 완벽한 자유를 부여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항일전쟁 이후에도 ‘자치’를 포함한 소수민족정책 기조는 변하지 않았다. 1949년 10월 1일 공산당은 국민당을 타이완으로 몰아내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설립했고 9월에 열린 제 1차 전국정치협상회의 전체회의에서 “중화민족은 다민족이 우애, 협력하는 대가정이다”라며 ‘단 하나의 중국’을 공식적으로 선언한다.

 

‘하나의 중국’의 미래
 
1949년 이래 ‘자치 용인, 독립 불용인’으로 표현되는 하나의 중국은 변함없이 존재한다. 마오쩌둥부터 시진핑(習近平)까지 공산당의 지도자는 계속해서 바뀌어왔지만, 이들 모두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으로 ‘하나의 중국’을 강조했다. 때문에 현재 ‘하나의 중국’은 소수민족 정책의 변함없는 기조로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소수민족은 여전히 중국의 통제를 받으며, 한족의 문화를 일부 수용한다는 조건 하에 그들의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그마저도 1970년대 문화대혁명 때 탄압을 받아 많은 문화가 손실된 상태다.
 
 2012년 말 출범한 시진핑 정부도 하나의 중국을 계승하고 있다. 소수민족 정책 변화 여부에 대해 윤휘탁(한경대 교양학부) 교수는 “전혀 없다. 공산당이 중국을 지배하는 한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중국을 공식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미국을 제외하면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소수민족 정책과 관련해 여전히 중국의 눈치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 역시 “공산당은 절대 소수민족의 독립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서영 기자 jsy@kukey.com
기사원문 고대신문 1730호(9월 9일자) 8면
http://www.kukey.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83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립치과 [치과제휴혜택]필립치과 충치치료부터 치아미백까지 한 곳에서! >>> 레진치료5/치아미백17.9 - 비급여진료 최대 50%(치아미백,치아성형,충치치료,스켈링,임플란트 등) 댓글 4 file 04-13 2866
388 고대신문 정보 흐르는 음악엔 저마다의 사연이 깃들어 있었다 file 11-25 388
387 고대신문 정보 홈페이지 없이 한 학기 보낸 총학 09-15 496
386 고대신문 정보 현차관 1층서 초등생 추락사고 10-08 666
385 고대신문 현안으로 떠오른 계약직 채용방식 05-13 1331
384 고대신문 허술한 약속에 텅 빈 시간표 file 09-05 1135
383 고대신문 정보 한국근현대사를 통해 본 반기업의식 11-06 331
382 고대신문 정보 학생사회 이끌 새로운 얼굴은 누구 file 11-25 423
381 고대신문 학생들 의견 모은 13개 요구안 선언 03-26 1583
380 고대신문 학사지원부가 더 불편한 학생회 공석 03-26 1207
379 고대신문 정보 학내 곳곳서 국정화 반대 움직임 "시대착오적 발상" 11-06 419
378 고대신문 학교에 공기청정기 기증한 세종 학술동아리 MMC 05-11 2161
377 고대신문 학교 측과 세종총학생회 면담무산 10-09 1632
376 고대신문 정보 편입학 제도의 불편한 민낯 09-15 1001
375 고대신문 페이지, 네 속살을 보여줘 file 09-11 1108
374 고대신문 정보 치열했기에 더욱 빛났다 09-22 986
373 고대신문 정보 충분한 의견수렴 필요한 재개발(안암2구역) 11-06 717
372 고대신문 축구부, 2대0으로 경희대 꺾고 올해 첫 우승 03-31 1923
371 고대신문 정보 총여 폐지 후 3개월 ... 인수인계는 아직 댓글 1 09-22 1209
370 고대신문 창조주가 말하는 쿠플존만의 '무언가' 댓글 1 11-21 1638
369 고대신문 창조적인 시도로 국내 대학의 선도적인 역할 자임 05-08 12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글 작성
10
댓글 작성
2
파일 업로드
0
파일 다운로드
0
게시글 조회
0
추천 받음
2
비추천 받음
-1
위로 가기
고려대 포털 블랙보드 도서관 버스정보 오늘의 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