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쿠플존 KUPLEZONE

조회 수 3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제 우리 주변에서 고양이를 마주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도시에서는 길고양이가 갈수록 늘어나면서 자발적으로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보호활동을 하는 소위 ‘캣맘’도 생겼다. 하지만 길고양이 수의 급격한 증가는 여러 문제를 초래했다. 길고양이가 음식물 쓰레기를 헤집거나 소음을 유발하는 등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길고양이에 대한 혐오가 캣맘에 대한 혐오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길고양이를 둘러싼 사람들 간의 갈등이 하나의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2170_16115_5127.jpg
▲ 일러스트| 주재민 전문기자

길고양이를 둘러싼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길고양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본지는 본교생 120명을 대상으로 길고양이와 관련된 OX 퀴즈를 진행했다. 학생들이 길고양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고양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다. 해설은 동물자유연대로부터 자문을 받았다.

 

1. 소유주가 없는 길고양이도 동물보호법에 의해 보호된다. (O) 정답률 77.5%

동물보호법 2조(정의)에서 ‘동물’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체계가 발달한 척추동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주인이 없는 길고양이일지라도 동물보호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2. 길고양이를 학대할 경우 동물보호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O) 정답률 85.8%

동물보호법 제8조(동물학대 등의 금지)에 따르면 길고양이를 학대하거나 죽일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여기에는 단순히 학대하거나 죽이는 행위뿐 아니라 고의로 사료, 물 등을 주지 않아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도 포함된다.

 

3. 길에서 태어나 야생성을 가진 길고양이도 유기동물 보호소 입소 대상이다. (X) 정답률 60.8%

유기동물 보호소는 유기동물의 주인을 찾아주거나 새로운 입양자를 찾기 위해 운영되는 곳이다. 길고양이는 집고양이와 달리 사람의 손을 타지 않아 유기동물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처음부터 길에서 태어나 야생성을 가지고 있는 길고양이는 유기동물 보호소 입소 대상에서 제외된다.

22170_16116_5127.jpg
▲ 일러스트| 주재민 전문기자

4. 길고양이에게 사료를 주는 것은 불법이다. (X) 정답률 83.3%

길고양이에게 사료를 주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생존을 위해 필요한 음식과 물을 구하지 못한 고양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뒤지며 거리를 더럽힌다. 오히려 정기적으로 고양이에게 사료를 공급하면 더 이상 배고픔을 느끼지 않아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하지 않게 된다. 대신 고양이에게 사료를 줄 때는 이웃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사료를 줄 때는 사람들이 많이 다니지 않는 공간과 시간을 선택하고, 주변 청소, 배설물 처리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강동구청은 2013년부터 길고양이 보호단체와의 협조를 통해 길고양이 급식소를 운영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5. 길고양이에게는 사람이 먹는 참치 캔을 먹이로 주는 것이 좋다. (X) 정답률 89.2%

사람이 먹는 음식 중에는 고양이에게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음식이 많다. 참치에 다량 함유돼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비타민E를 파괴해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사람의 음식에는 염분이 많아 고양이가 먹으면 신장이 망가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려면 고양이 전용 사료를 구입해 먹이는 것이 좋다.

22170_16117_5127.jpg
▲ 일러스트| 주재민 전문기자

6. 길고양이는 각종 위험에 쉽게 노출돼 집고양이보다 평균 수명이 짧다. (O) 정답률 82.5%

길고양이는 직접 먹이를 구하기가 힘들고, 사람에 의한 학대, 교통사고 등 위험 요인이 많아 집고양이보다 평균 수명이 짧다. 보통 집고양이의 평균 수명이 15~20년이지만, 길고양이의 평균수명은 3~5년에 불과하다. 특히 길에서 태어나는 새끼 고양이가 생후 6개월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50%도 되지 않는다. 면역력이 약한 새끼고양이는 비위생적인 환경과 영양부족으로 병에 걸리기 쉽고, 어미가 목숨을 잃으면 스스로 살아남기 어렵다.

 

7. 길고양이를 포획 후 살처분하는 것은 개체 수 조절에 효과가 있다. (X) 정답률 65.8%

고양이는 영역동물이기 때문에, 한 지역의 길고양이가 전부 사라지더라도 다른 지역에서 새로운 길고양이가 유입된다. 장기적으로는 개체 수가 줄어들지 않는 것이다. 이를 진공효과라고 한다. 따라서 길고양이의 수를 줄이기 위해 살처분하는 방법은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길고양이를 포획 후 살처분하는 것은 동물보호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길고양이의 개체 수를 관리하기 위해 살처분 방식 대신 TNR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영상 기자  video@kukey.com

<저작권자 © 고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립치과 [치과제휴혜택]필립치과 충치치료부터 치아미백까지 한 곳에서! >>> 레진치료5/치아미백17.9 - 비급여진료 최대 50%(치아미백,치아성형,충치치료,스켈링,임플란트 등) 댓글 4 file 04-13 2866
150 고대신문 정보 분석과 추론을 넘어 진화하는 인공지능 09-15 351
149 고대신문 정보 딥 러닝,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다 09-15 326
148 고대신문 정보 홈페이지 없이 한 학기 보낸 총학 09-15 502
147 고대신문 정보 세종캠 D+ … 입학정원 10% 감축 권고 09-15 1171
146 고대신문 정보 “언젠간 떠날 사람이란 생각에 주변 사람들과도 선 긋죠” 댓글 1 09-15 600
145 고대신문 정보 편입학 제도의 불편한 민낯 09-15 1001
144 고대신문 정보 진한 땀방울이 감동으로 다가온 다섯 경기 09-22 1156
143 고대신문 정보 식품첨가물, 냉장고 속 식품공학의 결정체 09-22 629
142 고대신문 정보 이것만 알면 당신도 분자요리사! 09-22 730
141 고대신문 정보 붉은 함성으로 수놓은 9월의 기록 09-22 458
140 고대신문 정보 외국인 학생이 들려주는 다른 나라 동거문화 댓글 1 09-22 1159
139 고대신문 정보 20대 커플의 동거, 사회적 시선엔 아직 조심스러워 09-22 411
138 고대신문 정보 안암을 지킨 15년의 기억 '개다방' 이 사라진다 09-22 1593
137 고대신문 정보 나눔과 고민이 깃든 가을축제 '위잉위잉' 09-22 489
136 고대신문 정보 담을 문으로 만들어달라는 학생회 09-22 514
135 고대신문 정보 고려대 교수 160명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성명 09-22 435
134 고대신문 정보 총여 폐지 후 3개월 ... 인수인계는 아직 댓글 1 09-22 1209
133 고대신문 정보 치열했기에 더욱 빛났다 09-22 986
132 qksrkdnjdy 정보 고대신문 10월 수습기자 모집 file 09-30 192
131 qksrkdnjdy 정보 2015 고대신문 창간기념 문예공모전 file 09-30 2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글 작성
10
댓글 작성
2
파일 업로드
0
파일 다운로드
0
게시글 조회
0
추천 받음
2
비추천 받음
-1
위로 가기
고려대 포털 블랙보드 도서관 버스정보 오늘의 식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