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악세(Sin tax)
옛날 우리가 알 수 없던 시절, 한 인디언 소녀가 살았다. 그 소녀는 얼굴이 너무 추하게 생겨 평생 사랑한 번 못해보고, 부모로부터 버림받아 결국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그 소녀의 유언은 “다음 생에서는 세상의 모든 남자와 키스하고 싶다.”였다. 이듬해 그 소녀의 무덤에는 처음 보는 풀이 자랐는데, 그것은 담배였다. 예전부터 전해 내려온 담배에 관한 전설이다. 소녀는 세상의 모든 남자와 키스하길 원했고 결국 그 꿈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제 소녀는 돈을 보고(?) 사람을 가려가며 키스를 하려고 한다.
최근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이 발의한 담뱃세 인상안이 논란이 되고 있다.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고 모두 언젠가는 담뱃세가 오를 것이라고 알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담뱃세 인상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그 시기 그리고 죄악세의 특징과 관련되어 있다.
지난 2009년과 2010년에도 담뱃세 인상에 관한 논의가 한창이었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 계속된 투자, 특히 4대강 사업 때문에 국세가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기였다. 야당과 언론에서는 소득세, 상속세, 양도소득세 등 이른바 부자 감세로 인해 부족한 세금을 담뱃세 인상으로 메꾸려 한다는 의혹을 보였다. 현재 상황도 몇 년 전 상황과 비슷하다. 새 정부의 정책추진을 위해서는 세수의 확충이 불가피하다.
국가재정을 확보하는 가장 쉬운 수단은 세금이다. 담뱃세의 경우에는 2500원짜리 국산담배 한 갑에는 담배소비세 641원, 지방교육세 321원, 부가가치세 227원 등 3종류의 세금과 국민건강증진부담금 354원, 폐기물 부담금 7원 등 2종류의 부담금이 부과된다. 세금과 부담금만 1550원이다. 담뱃세를 1000원만 인상해도 약 4조 5000억 원의 세수가 확보된다고 한다. 비싼 담뱃세로 흡연율도 줄어들 것이라 예상된다. 담배의 주 구매자는 중산층 이하 국민이다. 담뱃세는 서민들의 물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재정확충을 서민들의 주머니에서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재정을 확보하고 서민부담을 가중시키고,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죄악세와 같은 간접세 인상은 사회적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돼야 한다. 2009년에도 이명박 정부가 담뱃세 인상에 의욕을 보였지만 결국 ‘서민 증세’라는 역풍을 맞아 성사되지 못했다. 박근혜 정부는 과연 적절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근 간접세 논란이 뜨겁네요.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웠던 복지확충은 많은 세수를 필요로 합니다. 그로 인해 증세는 피할 수 없지요. 그에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간접세를 통한 증세입니다. 간접세의 증세는 엄청난 모험입니다. 일본의 노다 총리는 소비세 인상을 단행하다가 정권을 잃었습니다. 이런 전례가 수도 없이 많았기에 정치인들이 세금 인상, 특히 간접세 인상을 거론하기 꺼려하지요.
담뱃값 인상을 통한 증세는 서민들의 호주머니에서 돈을 빼내어 그 돈으로 복지를 하겠다는, 어떻게 보면 조삼모사 같은 생각이지요. 그래서 혹자는 부자들의 상속세, 그러니까 부자증세를 통해 세수를 확충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민주당들이 지긋지긋하게 말해오던 1: 99의 생각의 틀 안에서요. 하지만 생각해봅시다. 왜 자유민주주의에서 정당하게 돈을 번 것에 대해서 왜 남들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합니까? 왜 다수[서민]가 소수[부자]를 겨냥해 ‘다수의 횡포’를 행하는 겁니까? 그들은 속으로야 어쨌든 정당하게 돈을 번 사람들인데 말이죠. 그 안에는 1%의 사람들이 번 돈에 대해 99%의 사람들이 부도덕하고 정당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데서 기인합니다. 지금 99%사람들이 1%사람들의 재산을 과연 ‘과세 대상’으로 볼까요? 아니면 ‘압류대상’으로 볼까요? 이젠 이런 틀에서 벗어나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간접세 인상에 대한 적절한 명분도 있어야겠지요? 부자증세를 통해 복지를 하면, 앞서 말했듯이 ‘압류대상으로 복지를 한다.’ 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아무런 비용을 치루지 않고 얻은 복지를 과연 소중히 여길까요? 안철수의 수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수혜대상이라도 그 비용을 받아야 그 혜택을 소중히 여깁니다. (안철수의 생각- 의대생 시절 봉사활동 참고)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런 비용을 치루지 않고 얻은 복지, 혜택은 결국 복지병을 유발합니다. 저는 이게 옳은 귀결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비용은 나눠야 의미가 있습니다. 물론 지금도 간접세를 통해 그 비용을 분담합니다만 비용을 분담한다는 인식이 많이 저조합니다. 그래서 다른 시각에서는 복지병을 우려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제는 간접세 인상을 통한 비용분담의식을 통해 인식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좀더 국가의 주인이 된다는 느낌이랄까요.
--------------------------------------------------------------------------------------
제 글이 길었는데요. 마카오님과 약간은 다른 시각으로 글을 썼습니다.
이건 제 생각이기도 하지만 기본토대는 지하철오가며 읽었던 한국경제 오피니언 중 한 칼럼에서
그 베이스를 따왔습니다.
참고하세요 ㅎ
이승훈, [복지증세 불가피하다면 부가세가 옳다.] – 한국경제, 3월 18일